[기업기상도] 폭풍 속 길 뚫은 기업 vs 강풍 앞에 되밀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기 지표도, 기업 실적도 곳곳에서 빨간 불이 켜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기를 막으려는 노력이 한창이지만, 그 부담을 어떻게 나눠질지를 놓고 갈등도 커진 한 주였는데요.<br /><br />한 주 있었던 좋고 나쁜 기업소식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따가운 눈총 받은 기업들이 눈치 살피며 움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리 내리고 새 요금제 내놓고, 고통 분담 방안 내느라 바빴지만 국민들은 전기, 가스고지서에 한숨 쉰 한 주,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첫 맑은 기업 한국우주항공입니다.<br /><br />뚜렷한 실적 개선 이어 올해 더 쾌청하다는 전망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영업이익이 1,416억원, 140% 넘게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아시다시피 각국의 K방산에 대한 관심이 실적으로 이어진 건데요.<br /><br />증권가는 다 힘들다는 올해가 더 좋다고 봅니다.<br /><br />회사도 매출만 37% 는다고 했는데요.<br /><br />폴란드로 FA50 경공격기 수출이 예정돼있죠.<br /><br />여기에 한국형 전투기 KF21 네 번째 시제기 비행 성공 소식 더해졌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 넘으며 각국 안보 불안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K방산이 뻗어나가는 토대는 됐지만 전쟁은 사라져야겠죠.<br /><br />다음은 삼성물산입니다.<br /><br />힘든 수출 환경에도 역대급 실적에 성과급 두둑히 받더니 본가로 돌아옵니다.<br /><br />재계 1위 삼성 계열사는 법상 63개지만 실제론 삼성전자와 후자 2개란 우스갯 소리가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원조는 삼성물산, 그 중에서도 상사부문입니다.<br /><br />작년 힘든 상황에도 34% 늘어난 역대 최대 영업이익 내 연봉 50% 성과급 받았는데요.<br /><br />그 덕일까요?<br /><br />본사가 삼성의 상징 서울 태평로 본관으로 복귀한답니다.<br /><br />작년 종합상사 실적은 급등한 원자재 덕이 컸죠.<br /><br />하지만 세계 경제 침체 온다는 올해는 돌다리 두드려봐야 합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대한항공으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야심찬 마일리지 개편, 정부와 여론에 막혀 백기 들었습니다.<br /><br />보너스 항공권 구입, 좌석 승급에 쓰는 마일리지를 지역 단위에서 운항거리로 바꾸는 게 핵심이죠.<br /><br />문제는 일본,동남아 같은 단거리는 유리해도 장거리가 불리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단거리 수요 더 많아 이득 보는 사람 더 많다는 해명도 몇년 못간 미국,유럽 가려고 쌓아둔 사람들 반발, 또 정부,여당 압박엔 소용 없었습니다.<br /><br />2조7,000억원 쌓인 마일리지 부채 감축도 물 건너갔죠.<br /><br />새로 낸다는 개편안 한 번 봐야겠습니다.<br /><br />다음도 정부,여론 압박받은 곳 증권,카드사들입니다.<br /><br />은행 이어 비난 빗발치자 이자 내리기 바빴습니다.<br /><br />증권사에서 신용융자 받아 주식 사면 이자가 10% 육박합니다.<br /><br />금리 오르면 득달같이 올려도 시중금리 내리면 그냥 넘어가곤 하는데, 대형 증권사들이 최고 0.4%P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작년 12월 최고 16%대까지 치솟았던 카드사 카드론 금리도 15%대로 내려왔습니다.<br /><br />실적 감소는 예고된 겁니다.<br /><br />그래도 장기적 이득입니다.<br /><br />돈 놀이로 성과급 잔치하냐는 비판이 폭풍으로 바뀌기 직전이니까요.<br /><br />이번엔 SK텔레콤,KT, LGU+ 통신 3사입니다.<br /><br />비싼 요금 덕에 호황 누리다 공공의 적이 될 판입니다.<br /><br />통신 과점 해소와 경쟁 촉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, 윤석열 대통령 주문에 담합 없었는지 반성 필요하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야단 소리 더 커지기 전에 중간요금제 다양화, 기본요금 인하 같은 가시적 대책 내놔야할 상황이죠.<br /><br />누구 말처럼 3년 후 금송아지 아닌 당장의 물 한모금 말입니다.<br /><br />핵심은 데이터 많이 안쓰는 사람도 무제한 요금 쓰게 유도하고 5G 설비투자는 안해 돈 버는 방식 멈춰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카카오입니다.<br /><br />무한성장하던 IT공룡이 갑자기 경력 개발자 채용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네이버,카카오,라인,쿠팡,배달의민족, 몇년간 개발인력 무한 흡수하고 대우 좋은 최고 인기 직장이었죠.<br /><br />그런데 카카오가 면접만 남은 경력 채용 지원자 전원 탈락시키며 절차 중단했답니다.<br /><br />작년 매출 사상 최대였지만 영업이익은 2%대 감소했는데, 연봉 대폭 인상과 인력 급증이 한 몫 한 탓입니다.<br /><br />사실 걱정스러운 곳은 카카오가 아닙니다.<br /><br />여기가 채용 멈출 정도면 다른 곳은 어떨까하는 것이죠.<br /><br />기록적 저출산에 3년째 인구 줄어든 한국 되살릴 핵심은 아이디어로 뭉친 스타트업이죠.<br /><br />그런데 마이크로소프트,구글 같은 기업들이 한국 스타트업 기술은 실리콘밸리 74%선인데 해외진출 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답니다.<br /><br />K팝에 버금가는 K스타트업 스타 육성이 시급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